迷惑视听 mí huò shì tīng 대중을 현혹시키다

Explanation

使人看不清、听不明,以达到欺骗的目的。

눈과 귀를 혼란스럽게 하여 속이는 것.

Origin Story

战国时期,有个名叫张仪的谋士,他为了达到自己的目的,常常使用各种手段迷惑视听。有一次,他出使魏国,魏王对他的到来十分重视,想从他那里得到一些有益的建议。张仪便开始夸夸其谈,他一会儿说秦国多么强大,一会儿又说魏国多么弱小,一会儿又称赞魏王的英明神武,一会儿又批评魏国的某些官员无能腐败。他把魏王听得云里雾里,头脑昏昏沉沉,最后魏王迷失了判断力,答应了张仪提出的所有条件。张仪就这样利用花言巧语迷惑视听,成功地完成了他的政治任务。

zhàn guó shí qī, yǒu ge míng jiào zhāng yí de móushì, tā wèi le dào dá zìjǐ de mùdì, chángcháng shǐyòng gè zhǒng shǒuduàn míhuò shì tīng. yǒu yī cì, tā chūshǐ wèi guó, wèi wáng duì tā de dàolái shífēn zhòngshì, xiǎng cóng tā nàlǐ dédào yīxiē yǒuyì de jiànyì. zhāng yí biàn kāishǐ kuākuā qítán, tā yīhuǐ'ér shuō qín guó duōme qiángdà, yīhuǐ'ér yòu shuō wèi guó duōme ruòxiǎo, yīhuǐ'ér yòu chēngzàn wèi wáng de yīngmíng shénwǔ, yīhuǐ'ér yòu pīpíng wèi guó de mǒuxiē guān yuán wú néng fǔbài. tā bǎ wèi wáng tīng de yún lǐ wù lǐ, tóunǎo hūnhūnchénchén, zuìhòu wèi wáng mísī le pànduàn lì, dāyìng le zhāng yí tíchū de suǒyǒu tiáojiàn. zhāng yí jiù zhèyàng lìyòng huāyánqiǎoyǔ míhuò shì tīng, chénggōng de wánchéng le tā de zhèngzhì rènwù

전국 시대에 장의라는 이름의 책사가 있었다. 그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종종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세간의 눈을 현혹시켰다. 어느 날, 그는 위나라로 사신으로 갔다. 위왕은 그의 도착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그에게서 유익한 조언을 얻고자 했다. 장의는 교묘한 말솜씨로 위왕을 농락하기 시작했다. 진나라의 강함을 강조하거나, 위나라의 약함을 지적하거나, 위왕의 현명함을 칭찬하거나, 위나라 관리의 무능함을 비판하는 등 다양한 말들을 교묘하게 사용하여 위왕의 판단력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결국 위왕은 장의가 주장하는 모든 것을 받아들였다. 장의는 이렇게 교묘한 말로 세간의 눈을 속여 훌륭하게 정치적 임무를 완수했다.

Usage

多用于贬义,指用虚假信息迷惑大众。

duō yòng yú biǎnyì, zhǐ yòng xūjiǎ xìnxī míhuò dàzhòng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허위 정보로 대중을 현혹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Examples

  • 他的演讲充满了华丽辞藻,却迷惑视听,让人难以看清真相。

    tā de yǎnjiǎng chōngmǎn le huá lì cízǎo, què míhuò shì tīng, ràng rén nán yǐ kàn qīng zhēnxiàng

    그의 연설은 화려한 수사로 가득했지만, 청중을 혼란스럽게 하고 진실을 가렸다.

  • 一些别有用心的政客,通过散布谣言来迷惑视听,以达到不可告人的目的。

    yīxiē bié yòng yǒuxīn de zhèngkè, tōngguò sàn bù yáoyán lái míhuò shì tīng, yǐ dào dá bù kě gào rén de mùdì

    양심에 가책을 느끼지 않는 일부 정치인들은 여론을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