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能自已 bù néng zì yǐ 자제할 수 없다

Explanation

指无法控制自己的情绪,通常指因激动、悲伤等而无法克制。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흥분이나 슬픔 등으로 인해 감정을 억누를 수 없는 것을 가리킨다.

Origin Story

话说唐朝诗人李白,一生豪放不羁,常因诗兴大发而不能自已。一日,他与友人泛舟赤壁,面对浩瀚的江水和壮阔的景色,心中豪情万丈,不禁挥毫泼墨,写下了千古名篇《将进酒》。酒酣耳热之际,他更是仰天长啸,放声高歌,引来无数游人驻足观看。他那放荡不羁的姿态,正是他情感无法自已的生动写照。又有一次,李白被流放夜郎途中,路过峨眉山,被眼前的秀丽景色深深震撼,他感慨万千,悲从中来,泪如雨下,不能自已。此情此景,令人不禁为之动容。

huà shuō táng cháo shī rén lǐ bái, yī shēng háo fàng bù jī, cháng yīn shī xīng dà fā ér bù néng zì yǐ. yī rì, tā yǔ yǒu rén fàn zhōu chì bì, miàn duì hào hàn de jiāng shuǐ hé zhuàng kuò de jǐng sè, xīn zhōng háo qíng wàn zhàng, bù jīn huī háo pō mò, xiě xià le qiānguǐ míng piān jiāng jìn jiǔ. jiǔ hān ěr rè zhī jì, tā gèng shì yǎng tiān cháng xiào, fàng shēng gāo gē, yǐn lái wú shù yóu rén zhù zú guān kàn. tā nà fàng dàng bù jī de zī tài, zhèng shì tā qíng gǎn wú fǎ zì yǐ de shēng dòng xiě zhào.

당나라 시인 이백은 평생 방탕하고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시상에 휘말려 자제력을 잃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어느 날 친구들과 함께 적벽을 배로 유람하던 중, 광활한 강과 장엄한 풍경에 매료되어 붓을 들어 ‘將進酒’라는 명시를 지었다. 술자리에서는 하늘을 우러러 크게 외치며 큰 소리로 노래를 불러 많은 구경꾼들을 모았다. 그의 방탕한 모습은 감정을 억누르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 어느 때 이백은 낙양으로 유배 가는 도중에 아미산을 지나게 되었다. 눈앞의 아름다운 풍경에 감동을 받아 깊은 감회에 젖어 눈물을 멈출 수 없었다.

Usage

作谓语、状语;形容无法控制自己的情绪。

zuò wèiyǔ, zhuàngyǔ;xiáoróng wúfǎ kòngzhì zìjǐ de qíngxù

술어나 부사로 사용하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Examples

  • 听到这个噩耗,他悲痛欲绝,不能自已。

    tīng dào zhège è hào, tā bēi tòng yù jué, bù néng zì yǐ

    이런 비보를 듣고 그는 비통해하며 감정을 억누를 수 없었다.

  • 面对如此美丽的景色,我不禁心潮澎湃,不能自已。

    miàn duì rúcǐ měilì de jǐngsè, wǒ bù jīn xīn cháo péng bài, bù néng zì yǐ

    너무 아름다운 풍경에 나는 감동을 금치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