剑拔弩张 jiàn bá nǔ zhāng 검을 뽑고 활시위를 당긴

Explanation

形容双方关系紧张,气氛严峻,随时可能爆发冲突。

양측의 관계가 긴박하고, 언제든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大将诸葛亮七擒孟获,平定南蛮之后,南蛮诸王虽然表面上臣服,但暗地里却依然不服,经常派人到边境挑衅。一天,蜀汉边境告急,说是南蛮军队集结在边境,随时可能入侵。蜀汉朝廷立即召集文武百官商议对策。一时间,朝堂之上,气氛紧张,剑拔弩张。诸葛亮沉着冷静地分析了南蛮的形势,并提出了相应的战略部署,最终成功平息了危机。

huì shuō sān guó shíqí, shǔ hàn dà jiàng zhū gě liàng qī qín mèng huò, píng dìng nán mán zhī hòu, nán mán zhū wáng suīrán biǎomiàn shàng chén fú, dàn àn dì lǐ què yīrán bù fú, jīng cháng pài rén dào biānjìng tiǎoxìn. yī tiān, shǔ hàn biānjìng gào jí, shuō shì nán mán jūnduì jíjié zài biānjìng, suíshí kěnéng rùqīn. shǔ hàn cháoting lìjí zhàojí wénwǔ bǎiguān shāngyì duìcè. yī shíjiān, cháotáng zhī shàng, qìfēn jǐnzhāng, jiànbá nǔzhāng. zhū gě liàng chénzhuó língjìng de fēnxī le nán mán de xíngshì, bìng qǐtú le xiāngyìng de zhànlüè bùshǔ, zhōngyú chénggōng píngxī le wēijī.

고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 제갈량이 남만의 맹획을 일곱 번 사로잡았다 풀어주어 남만을 평정한 후에도, 남만의 여러 왕들은 표면적으로는 복종했지만 속으로는 불만을 품고 자주 국경에서 도발 행위를 했다. 어느 날, 촉한 국경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남만 군대가 국경에 집결하여 침공 직전이라는 보고가 들어왔다. 촉한 조정은 즉시 문무백관을 불러 대책을 논의했다. 그러자 조정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일촉즉발의 상황이 되었다. 제갈량은 침착하게 남만의 정세를 분석하고 적절한 전략을 세워 위기를 무사히 넘겼다.

Usage

多用于形容两国或两方势力关系紧张对峙的局面。

duō yòng yú xíngróng liǎng guó huò liǎng fāng shìlì guānxi jǐnzhāng duìzhì de júmiàn

두 국가 또는 두 세력 간의 긴장된 대치 상황을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Examples

  • 两军对峙,剑拔弩张。

    liǎng jūn duìzhì, jiànbá nǔzhāng

    양군이 대치하여 칼을 뽑아들 듯 긴장한 상황이었다.

  • 谈判破裂,双方剑拔弩张,一触即发。

    tánpàn pōliè, shuāngfāng jiànbá nǔzhāng, yīchù jífā

    협상이 결렬되어 양측이 일촉즉발의 상황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