救苦救难 Jiù kǔ jiù nàn 고난을 구하다

Explanation

出自佛经,形容菩萨慈悲为怀,拯救受苦受难的人。

불교 경전에서 유래한 말로, 보살의 자비로운 마음을 나타냅니다. 고통받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구한다는 뜻입니다.

Origin Story

唐朝时期,一个贫苦的农妇,丈夫早逝,独自拉扯两个孩子,生活极其艰难。一日,她带着孩子上山采药,途中遭遇山洪暴发,母子三人被困在山上,眼看就要被洪水冲走。危急时刻,一位白衣女子出现,施法救助,将他们带到安全的地方,农妇这才知道,是观音菩萨显灵救了她一家三口。从此以后,农妇一家安居乐业,并将观音菩萨救苦救难的故事广为流传。

Táng cháo shí qī, yīgè pín kǔ de nóng fù, zhàngfū zǎo shì, dú zì lā chě liǎng gè háizi, shēnghuó jí qí jiān nán. Yī rì, tā dài zhe háizi shàng shān cǎi yào, tú zhōng zāo yù shān hóng bào fā, mǔ zǐ sān rén bèi kùn zài shān shàng, yǎn kàn jiù yào bèi hóng shuǐ chōng zǒu. Wēi jī shí kè, yī wèi bái yī nǚ zǐ chū xiàn, shī fǎ jiù zhù, jiāng tāmen dài dào ān quán de dì fāng, nóng fù cái zhī dào, shì Guānyīn Púsà xiǎn líng jiù le tā yī jiā sān kǒu. Cóng cǐ yǐ hòu, nóng fù yī jiā ān jū lè yè, bìng jiāng Guānyīn Púsà jiù kǔ jiù nàn de gù shì guǎng wèi liú chuán.

당나라 시대, 남편을 일찍 여의고 두 아이를 홀로 키우며 가난하게 살던 농부 여자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아이들과 함께 산에 약초를 캐러 갔는데, 도중에 큰 홍수를 만나 엄마와 아이 세 명이 산에 고립되어 물에 떠내려갈 위기에 처했습니다. 그때 하얀 옷을 입은 여자가 나타나 마법으로 그들을 구하고 안전한 곳으로 데려갔습니다. 농부 여자는 그것이 관세음보살의 기적이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 후로 농부 가족은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게 되었고, 관세음보살이 고난을 구했다는 이야기는 널리 전해졌습니다.

Usage

用来形容菩萨或具有菩萨心肠的人,慈悲为怀,救助受苦受难的人。

yòng lái xíng róng pú sà huò jùyǒu pú sà xīn cháng de rén, cí bēi wèi huái, jiù zhù shòu kǔ shòu nàn de rén

보살이나 보살과 같은 자비로운 마음을 가진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고통받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Examples

  • 菩萨大慈大悲,救苦救难。

    pó sà dà cí dà bēi, jiù kǔ jiù nàn

    보살은 자비롭고, 고난을 구한다.

  • 观世音菩萨,救苦救难

    guān shì yīn pú sà, jiù kǔ jiù nàn

    관세음보살, 고난을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