望风而逃 wàng fēng ér táo 바람 보고 도망치다

Explanation

远远望见对方的气势很盛,就吓得逃跑了。形容十分怯敌。

멀리서 적의 기세가 매우 강한 것을 보고 겁에 질려 도망치는 것. 적 앞에서 매우 겁이 많음을 나타낸다.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名将赵云,智勇双全,在长坂坡单骑救主,可谓英勇无比。然而,并非所有蜀军将士都像赵云一样骁勇善战。有一次,蜀军与魏军遭遇,魏军声势浩大,旌旗蔽日,战鼓雷鸣,杀气腾腾。一些蜀军将士被魏军的强大气势所震慑,还没交战便望风而逃,丢盔弃甲,溃不成军。这场战斗最终以蜀军惨败告终。

huì shuō sān guó shí qī, shǔ hàn míng jiàng zhào yún, zhì yǒng shuāng quán, zài cháng bǎn pō dān qí jiù zhǔ, kě wèi yīng yǒng wú bǐ. rán ér, bìng fēi suǒ yǒu shǔ jūn jiàng shì dōu xiàng zhào yún yī yàng xiāo yǒng shàn zhàn. yǒu yī cì, shǔ jūn yǔ wèi jūn zāo yù, wèi jūn shēng shì hào dà, jīng qí bì rì, zhàn gǔ léi míng, shā qì téng téng. yī xiē shǔ jūn jiàng shì bèi wèi jūn de qiáng dà qì shì suǒ zhèn shè, hái méi jiāo zhàn biàn wàng fēng ér táo, diū kuī qì jiǎ, kuì bù chéng jūn. zhè chǎng zhàn dòu zuì zhōng yǐ shǔ jūn cǎn bài gào zhōng.

삼국시대 촉한의 명장 조운은 지혜와 용맹으로 유명했습니다. 장판파에서의 단기구주는 그의 비할 데 없는 용기를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모든 촉나라 병사들이 조운처럼 용감했던 것은 아닙니다. 어느 날, 촉군은 위군과 조우했습니다. 위군의 기세는 엄청났고, 깃발이 해를 가리고, 전쟁 북소리가 울려 퍼지고, 살기가 넘쳤습니다. 위군의 압도적인 기세에 겁먹은 촉군 병사들은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도망치고, 무기와 갑옷을 버리고, 패주했습니다. 이 전투는 촉군의 참패로 끝났습니다。

Usage

作谓语、定语;形容十分怯敌

zuò wèi yǔ, dìng yǔ; xíng róng shí fēn qiè dí

술어나 정유로 사용. 적 앞에서 매우 겁이 많음을 나타낸다.

Examples

  • 面对强敌,他们望风而逃,毫无斗志。

    miàn duì qiáng dí, tāmen wàng fēng ér táo, háo wú dòu zhì

    강적을 만나자 그들은 아무런 저항도 없이 도망쳤다.

  • 敌人来势汹汹,我军望风而逃,避免了不必要的伤亡。

    dírén lái shì xīng xīng, wǒ jūn wàng fēng ér táo, bì miǎn le bù bì yào de shāng wáng

    적의 공세가 거셌기에 우리 군은 불필요한 희생을 피하기 위해 후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