瞠目结舌 chēng mù jié shé 말문이 막히고 어리둥절하다

Explanation

形容因惊骇、窘迫等说不出话来的样子。

놀람, 당황 등으로 말문이 막히는 모습을 나타낸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秀才去参加科举考试。考场上,题目一出,秀才们纷纷下笔,唯有这位秀才对着试卷发愣。他绞尽脑汁,也想不出一个字来,急得满头大汗,最后,他竟然吓得瞠目结舌,卷子一片空白。考官见他如此窘迫,不禁摇头叹息。从此,这个秀才便成了大家茶余饭后的笑谈,被人们用来形容那些因紧张而不知所措的人。

huì shuō táng cháo shí qī, yǒu gè xiù cái qù cān jiā kē jǔ kǎoshì. kǎo chǎng shàng, tímù yī chū, xiù cái men fēn fēn xià bǐ, wéi yǒu zhè wèi xiù cái duì zhù shì juàn fā lèng. tā jiǎo jìn nǎo zhī, yě xiǎng bù chū yīgè zì lái, jí de mǎn tóu dà hàn, zuì hòu, tā jìng rán xià de chēng mù jié shé, juǎn zi yī piàn kòng bái. kǎo guān jiàn tā rú cǐ jiǒng pò, bù jīn yáo tóu tàn xī. cóng cǐ, zhège xiù cái biàn chéng le dà jiā chá yú fàn hòu de xiào tán, bèi rén men yòng lái xíng róng nà xiē yīn jǐn zhāng ér bù zhī suǒ cuò de rén.

당나라 시대 과거 시험 이야기입니다. 문제가 출제되자 수험생들은 줄줄이 답안을 쓰기 시작했지만, 어떤 수험생은 시험 문제를 그저 멍하니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그는 필사적으로 생각했지만, 한마디도 쓸 수 없었고, 식은땀을 흘리며 결국 말문이 막히고 답안지는 하얗게 비어 있었습니다. 그 모습을 본 시험관은 고개를 저으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이후 이 수험생은 긴장해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사람의 예로 이야기되곤 했습니다.

Usage

常用来形容人因惊呆或窘迫而说不出话的样子。

cháng yòng lái xíng róng rén yīn jīng dāi huò jiǒng pò ér shuō bù chū huà de yàng zi.

놀라거나 당황해서 말문이 막히는 모습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Examples

  • 面对突如其来的问题,他吓得瞠目结舌,说不出话来。

    miànduì tū rú qí lái de wèntí, tā xià de chēng mù jié shé, shuō bù chū huà lái le.

    갑작스러운 문제에 직면해서 그는 깜짝 놀라 말문이 막혔다.

  • 听到这个令人震惊的消息,他瞠目结舌,半天回不过神来。

    tīng dào zhège lìng rén zhèn jīng de xiāoxī, tā chēng mù jié shé, bàntiān huí bù guò shén lái le.

    충격적인 소식을 듣고 그는 어안이 벙벙해서 한참 동안 반응하지 못했다.

  • 辩论会上,他被对手驳得瞠目结舌,无言以对。

    biànlùn huì shàng, tā bèi duìshǒu bó de chēng mù jié shé, wú yán yǐ duì.

    토론회에서 그는 상대방에게 반박당해서 말문이 막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