铁嘴钢牙 쇠 입강 이빨
Explanation
形容人能言善辩,口齿伶俐,辩论时理直气壮,令人信服。
말솜씨가 좋고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주장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표현이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名叫李白的诗人,以其才华横溢而闻名于世。他不仅诗写得好,而且口才也极佳。一次,他与一位名士在酒楼上饮酒作乐,席间两人发生了激烈的辩论。这位名士口若悬河,引经据典,试图以其渊博的知识压倒李白。然而,李白却毫不示弱,他妙语连珠,引古论今,论证精辟,令人叹服。最终,这位名士败下阵来,心悦诚服地承认李白的才华。从此,李白“铁嘴钢牙”的名号便在文坛广为流传。
탕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이름의 시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뛰어난 재능으로 유명했다. 그는 위대한 시인일 뿐만 아니라 웅변에도 능했다. 어느 날, 그와 유명한 학자가 주점에서 술을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던 중,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학자는 유창한 말솜씨로 고전과 경전을 인용하며 방대한 지식으로 이백을 제압하려 했다. 하지만 이백은 결코 굴하지 않았다. 그는 기지와 지혜로 응수하며, 고대와 현대를 넘나드는 논리적인 주장으로 상대를 압도했다. 결국 학자는 패배를 인정하고 이백의 재능을 겸손하게 받아들였다. 그 이후로 이백은 ‘은빛 혀를 가진 웅변가’로 문단에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Usage
多用于形容人能言善辩,口才好。
말솜씨가 좋고 설득력 있는 사람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된다.
Examples
-
他口才极好,简直是铁嘴钢牙。
tā kǒucái jí hǎo, jiǎnzhí shì tiě zuǐ gāng yá
그는 웅변술이 뛰어나서, 마치 은빛 혀를 가진 연설가와 같다.
-
面对对手的步步紧逼,他凭借着铁嘴钢牙,巧妙地化解了危机。
miànduì duìshǒu de bùbù jǐnbī, tā píngjièzhe tiě zuǐ gāng yá, qiǎomiào de huàjiěle wēijī
상대방의 압박에 맞서 그는 날카로운 말솜씨와 강력한 논리로 위기를 잘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