铸剑为犁 칼을 쟁기로 만들다
Explanation
指把刀剑熔化后重新铸造成犁,比喻战争结束后人民过上和平生活的景象,也用来比喻放弃战争,致力于和平建设。
칼을 녹여 쟁기로 다시 만드는 것을 가리키며, 전쟁이 끝난 후 사람들이 평화로운 삶을 사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된다. 또한 전쟁을 포기하고 평화 건설에 전념하는 것을 비유할 때에도 사용된다.
Origin Story
话说东汉末年,天下大乱,战火连绵。经过多年的征战,百姓流离失所,民不聊生。终于,在经过一番激烈的角逐之后,刘秀建立了东汉王朝,结束了长期的战乱。战争结束后,人们渴望和平,纷纷将战场上缴获的刀枪剑戟熔化,重新铸造成了犁、耙、锄等农具。他们决心抛弃过去的战争岁月,从此过上安居乐业的生活。曾经的战场上,如今是一片生机勃勃的景象,人们辛勤劳作,田野里到处都传来了欢声笑语。一位老农望着田间地头闪耀着阳光的农具,感慨万千地说:"这都是来之不易的和平啊!"
후한 말엽, 천하는 대혼란에 휩싸여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수년간의 전쟁으로 백성들은 뿔뿔이 흩어져 삶에 고통을 받았다. 마침내 치열한 다툼 끝에 유수가 후한 왕조를 건국하고 오랜 전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전쟁이 끝나자 사람들은 평화를 간절히 바라며 전장에서 노획한 칼과 창, 칼과 도끼를 녹여 쟁기, 갈퀴, 호미 등 농기구로 만들었다. 그들은 과거의 전쟁 시대를 버리고 평화롭게 살기로 결심했다. 옛 전장에는 이제 활기찬 광경이 펼쳐지고 사람들은 부지런히 일하며 들판에는 어디서나 웃음소리가 울려 퍼졌다. 노농은 햇살에 반짝이는 농기구를 바라보며 감회에 젖어 말했다. “이것은 고생 끝에 얻은 평화이다!”
Usage
多用于比喻战争结束,人民开始和平建设的场景。
전쟁이 끝나고 사람들이 평화로운 건설을 시작하는 모습을 비유할 때 주로 사용된다.
Examples
-
战争结束后,人们纷纷铸剑为犁,开始了和平的建设。
zhànzhēng jiéshù hòu, rénmen fēnfēn zhù jiàn wéi lí, kāishǐle píng'ān de jiànshè.
전쟁이 끝난 후 사람들은 앞다투어 칼을 쟁기로 바꾸어 평화로운 건설을 시작했다.
-
国家倡导和平发展,号召大家铸剑为犁,共建美好家园。
guójiā chāngdǎo píng'ān fāzhǎn, hàozhào dàjiā zhù jiàn wéi lí, gòngjiàn měihǎo jiāyuán
국가는 평화 발전을 주창하고 모두에게 칼을 쟁기로 바꾸어 아름다운 보금자리를 함께 건설하자고 호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