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退为进 물러서서 나아가다
Explanation
成语“以退为进”指为了达到最终目标而采取暂时退让的策略,通常用于比喻在处世或竞争中,以退让的方式取得更大的进步或优势。它强调的是一种灵活的策略,而非单纯的懦弱或退缩。
"이퇴위진(以退为进)"이라는 관용구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물러서는 전략을 채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처세술이나 경쟁에서 물러섬으로써 더 큰 발전이나 우위를 얻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순한 겁이나 후퇴가 아니라, 유연한 전략임을 강조합니다.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名将诸葛亮北伐中原,与魏军对峙于五丈原。魏军实力雄厚,蜀军屡战屡败,士气低落。诸葛亮深知硬拼难以取胜,便决定采取“以退为进”的策略。他故意示弱,将营寨后撤,诱使司马懿率领大军追击。司马懿谨慎多疑,不敢轻易深入,蜀军佯装败退,一路诱敌深入险峻的山谷之中。司马懿见蜀军溃不成军,犹豫不决,最终下令停止追击。诸葛亮抓住时机,在山谷中布下天罗地网,待司马懿大军深入后,蜀军突然反攻,大败魏军。司马懿大惊失色,仓皇逃回。此战蜀军以少胜多,取得了决定性的胜利,诸葛亮巧妙地运用“以退为进”之计,化解了危机,最终取得了辉煌的战果。
중국의 삼국시대, 촉한의 명장 제갈량은 오장원에서 위나라 군대와 대치하고 있었습니다. 위나라 군대는 강력했고, 촉나라 군대는 여러 번 패배를 거듭하여 사기가 저하되어 있었습니다. 제갈량은 정면 충돌로는 승리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물러서서 나아가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그는 일부러 약점을 보이고, 진영을 후퇴시켜 사마의가 대군을 이끌고 추격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사마의는 신중하고 의심이 많았기 때문에 쉽게 깊이 추격하지 않았습니다. 촉나라 군대는 패주하는 척하며 험준한 산골짜기로 적을 유인했습니다. 사마의는 촉나라 군대가 패주하는 것을 보고 망설이다가 결국 추격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제갈량은 이 기회를 포착하여 산골짜기에 함정을 설치했습니다. 사마의의 대군이 깊숙이 들어온 순간, 촉나라 군대는 갑자기 반격하여 위나라 군대를 대파했습니다. 사마의는 허둥지둥 도망쳤습니다. 이 전투에서 촉나라 군대는 적은 병력으로 승리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제갈량은 "물러서서 나아가는" 계략을 교묘하게 사용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눈부신 결과를 얻었습니다。
Usage
“以退为进”常用于比喻在处世或竞争中,以退让的方式取得更大的进步或优势,体现了灵活的策略和智慧。
"물러서서 나아가다"는 삶이나 경쟁에서 물러섬으로써 더 큰 발전이나 우위를 얻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유연한 전략과 지혜를 보여줍니다.
Examples
-
他这次的退让,其实是以退为进的策略。
tā zhè cì de tuì ràng, qí shí shì yǐ tuì wéi jìn de cè lüè
이번 후퇴는 사실상 후퇴하여 진격하는 전략이었다.
-
在谈判中,适当的退让有时能达到以退为进的效果。
zài tán pán zhōng, shì dàng de tuì ràng yǒu shí néng dà dào yǐ tuì wéi jìn de xiào guǒ
협상에서 적절한 양보는 때때로 물러서서 나아가는 효과를 낸다.
-
与其锋芒毕露,不如以退为进,韬光养晦。
yǔ qí fēng máng bì lù, bù rú yǐ tuì wéi jìn, tāo guāng yǎng huì
능력을 드러내기보다는 숨어서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