信口雌黄 xìn kǒu cí huáng 막말을 하다

Explanation

信口雌黄,指不顾事实,随口乱说。成语出自晋朝孙盛的《晋阳秋》。古代用黄色颜料“雌黄”涂改文字,后比喻不顾事实,随意更改或捏造。

사실을 무시하고 막말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나라 손성의 『진양추』에서 유래했다. 고대에는 노란색 안료인 ‘치황’으로 글자를 수정했는데, 후에 사실을 무시하고 함부로 고치거나 날조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Origin Story

晋朝时,有个名叫王衍的名士,特别擅长清谈。有一次,他跟朋友们聚在一起闲聊,谈论起老庄的哲学思想。他侃侃而谈,引经据典,然而言辞却前后矛盾,漏洞百出。有人指出他的错误,他就立刻修改说法,张口就来,毫不脸红。人们因此称他为“口中雌黄”,意思是说他说话不顾事实,随口乱说。

jìn cháo shí, yǒu gè míng jiào wáng yǎn de míngshì, tèbié shàncháng qīngtán. yǒu yī cì, tā gēn péngyǒumen jù zài yīqǐ xiánliáo, tánlùn qǐ lǎo zhuāng de zhéxué sīxiǎng. tā kǎnkǎn értán, yǐn jīng jù diǎn, rán'ér yáncí què qián hòu máodùn, lòudòng bǎichū. yǒurén zhǐ chū tā de cuòwù, tā jiù lìkè xiūgǎi shuōfǎ, zhāng kǒu jiù lái, háo bù liǎn hóng. rénmen yīncǐ chēng tā wèi "kǒu zhōng cí huáng", yìsi shì shuō tā shuōhuà bù gù shìshí, suí kǒu luàn shuō.

진나라 때 왕연이라는 유명한 학자가 있었는데, 그는 특히 사담에 능했다. 어느 날, 친구들과 모여서 노장의 철학 사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는 유창하게 이야기하고 고전을 인용했지만, 그의 말은 모순투성이었고, 허점투성이였다. 누군가 그의 실수를 지적하자, 그는 즉시 말을 바꾸었고, 주저 없이, 얼굴을 붉히지도 않고 이야기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입으로 치황을 하는 사람”이라고 불렀다. 즉, 그는 사실을 무시하고 막말을 했다는 것이다.

Usage

信口雌黄通常作谓语、宾语和定语,用来形容说话不负责任,不顾事实,随意乱说。

xìn kǒu cí huáng tōngcháng zuò wèiyǔ, bǐnyǔ hé dìngyǔ, yòng lái xíngróng shuōhuà bù fù zérèn, bù gù shìshí, suíyì luàn shuō

“신구자황(信口雌黃)”은 보통 서술어, 목적어, 정유어로 쓰여, 책임감 없고, 사실을 무시하며, 함부로 말하는 것을 묘사한다.

Examples

  • 他信口雌黄,编造谎言,企图蒙混过关。

    tā xìn kǒu cí huáng, biān zào huǎngyán, qǐtú méng hùn guòguān. huìyì shàng, tā xìn kǒu cí huáng, fābiao le bù fù zérèn de yányùn

    그는 허황된 말을 지어내어 속이려고 했다.

  • 会议上,他信口雌黄,发表了不负责任的言论。

    회의에서 그는 무책임한 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