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目无睹 Yǒu mù wú dǔ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는

Explanation

指明明看见了,却装作没看见;形容对客观存在的事物视而不见。多用于责骂对方不关心或不重视某些事情。

분명히 보고 있으면서도 못 본 체하는 것.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무시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어떤 일을 신경 쓰지 않거나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사람을 비난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名叫李白的诗人,他一生豪放不羁,蔑视权贵。一次,他参加宫廷宴会,皇帝赏赐给他许多珍宝,但李白却视若无睹,只顾与友人畅谈诗歌,皇帝见状,大怒,斥责李白目无君上,李白反驳道:“陛下之赏赐,我皆铭记于心,但心不在焉,并非有目无睹。”皇帝听后,十分生气,但又无可奈何,只好作罢。此事后来被传为佳话,体现了李白特立独行,不为外物所动的洒脱性格。

huàshuō tángcháo shíqī, yǒu gè míng jiào lǐ bái de shīrén, tā yīshēng háofàng bùjī, mièshì quán guì. yīcì, tā cānjiā gōngtíng yànhuì, huángdì shǎngcì gěi tā xǔduō zhēnbǎo, dàn lǐ bái què shì ruò wú dǔ, zhǐ gù yǔ yǒurén chàngtán shīgē, huángdì jiàn zhàng, dà nù, chìzé lǐ bái mù wú jūn shàng, lǐ bái fǎnbó dào:"bìxià zhī shǎngcì, wǒ jiē míngjì yú xīn, dàn xīn bù zài yān, bìng fēi yǒu mù wú dǔ." huángdì tīng hòu, shífēn shēngqì, dàn yòu wúkě nàihé, zhǐhǎo zuò bà. cǐ shì hòulái bèi chuán wèi jiāhuà, tǐxiàn le lǐ bái tè lì dúxíng, bù wèi wài wù suǒ dòng de sǎtuō xìnggé.

탕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시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일생 동안 방탕하고 권력자를 경멸했다. 어느 날 궁정 연회에 참석했을 때 황제로부터 많은 보물을 받았지만, 이백은 그것들을 무시하고 친구들과 시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를 본 황제는 격노하여 이백을 불경죄로 꾸짖었다. 이백은 반박했다. "폐하의 하사품, 모두 마음속에 새겼지만, 마음이 그곳에 있지 않았을 뿐, 일부러 못 본 체 한 것은 아닙니다." 황제는 격노했지만 어쩔 도리가 없어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후에 미담으로 전해지며 이백의 자유분방하고 외부 압력에 굴하지 않는 성격을 보여준다.

Usage

用于批评或谴责他人对明显的事实或问题视而不见,漠不关心。

yòng yú pīpíng huò qiǎnzé tārén duì míngxiǎn de shìshí huò wèntí shì'érbùjiàn, mòbù guānxīn

명백한 사실이나 문제를 무시하고 무관심한 사람을 비판하거나 비난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他竟然对如此明显的错误视而不见,真是有目无睹!

    ta jingran dui ruci mingxian de cuowu shi'erbujian, zhen shi youmuwudǔ!

    그는 너무나 명백한 실수를 무시했어요. 정말 용서할 수 없어요!

  • 面对如此重要的证据,他竟然有目无睹,令人难以置信!

    mianduiruci zhongyao de zhengju, ta jingran youmuwudǔ, lingren nanyi zhixin!

    이렇게 중요한 증거 앞에서 그는 마치 눈이 없는 것처럼 행동했어요. 믿을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