刚愎自用 독단적이고 고집 세다
Explanation
指人固执己见,自以为是,不听取别人的意见。
자기 의견에 고집하고, 자기중심적이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지 않는 사람을 가리킨다.
Origin Story
春秋时期,晋国和楚国因为宋国的问题爆发战争。楚军在宋国节节胜利,宋国快要投降了。楚军将领,没有听从楚王命令,擅自撤退。晋军大将荀林父不听从主将的命令,擅自出兵攻打楚国。楚国大夫伍参向楚庄王分析了晋军的情况,说晋国军队将领刚愎自用,军心涣散。楚庄王采纳了伍参的建议,一举消灭了晋军,取得了战争的胜利。这个故事体现了刚愎自用的危害。
춘추시대 진나라와 초나라는 송나라를 두고 전쟁을 벌였습니다. 초나라 군대가 승승장구하여 송나라는 항복 직전이었지만, 초나라 장군은 왕의 명령을 어기고 임의로 철군했습니다. 한편 진나라 장군 순림부는 상관의 명령을 어기고 초나라를 공격했습니다. 초나라 대신 우참은 진나라 군대의 상황을 분석하여 장군들이 독단적이고 사기가 저하되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초나라 장왕은 우참의 의견을 받아들여 진나라 군대를 완전히 격파하고 전쟁에서 승리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독단적인 행동의 위험성을 보여줍니다.
Usage
形容人固执己见,自以为是,不听取别人的意见。常用于批评人的缺点。
자기 생각에 고집이 세고, 독단적이며 남의 의견을 듣지 않는 사람을 묘사하는 표현. 남의 단점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된다.
Examples
-
他刚愎自用,听不进别人的劝告。
ta gangbi ziyong, ting bu jin bie ren de quangao.
그는 고집이 세서 다른 사람의 충고를 듣지 않는다.
-
领导刚愎自用,导致公司决策失误。
lingdao gangbi ziyong,daozhi gongsi juece shiwu
지도자의 독단적인 태도 때문에 회사의 결정에 실수가 생겼다.